본문 바로가기

야생식물/산채류

참취(취나물) 재배법[개화,파종과 수확시기,모종 심는시기와 정식방법,재배관리(웃거름,물,차광)]

반응형

취나물은 우리나라의 전국 산지에 60여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취나물에 속하는 종류에는 쌈채소나 무침나물로 이용하는 참취,잎이 곰발바닥 모양처럼 넓적하게 생겨 쌈채소로 먹기 좋은 곰취,말려서 묵나물로 먹는 미역취 그 밖에 곰취와 비슷하게 생긴 곤드레와 곤달비 등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잎과 줄기의 향과 맛이 좋고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한 건강식품으로 대표적인 취나물의 하나인 참취와 관련된 참취 생태적 특성과 재배법(파종시기와 종자의 휴면타파,작형별 모종 심는시기와 수확시기,모종 심는방법),참취 재배관리(웃거름,물관리,차광관리)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참취-취나물-재배법-작형별-재배시기-파종-개화시기-모종-심는시기-수확시기
참취 재배법(생태적 특성과 작형별 재배시기)

1.참취의 생태적 특성


참취는 키가 1~1.5m의 높이로 자라는 국화과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 잎이 서로 어긋나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나 뒷면은 흰색이며 식물체에 거친털이 있습니다

참취 생육초기에는 잎이 뿌리에서 잎이 올라오는데 그 뿌리잎은 모양이 타원형이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줄기에서 나온 잎은 길고 잎끝이 뾰족합니다.참취꽃 피는 개화시기는 8~9월로 꽃잎은 6~8매,꽃의 색상(화색)은 흰색이고 중앙부는 노란색을 띠며 종자는 9~10월에 성숙되고 종자에는 솜털이 붙어 있습니다

2.참취(취나물) 재배법


(1).참취(취나물) 파종시기와 종자의 휴면타파

참취는 2년 이상 왕성하게 자란 개체에서 10월경 종자를 채종하여 통풍이 잘 되는 그늘진 곳에서 건조시켜  선별합니다.참취의 종자는 수명이 짧아 상온에서 보관시 10~12개월 정도가 지나면 발아율이 5% 이하로 급격히 떨어지므로 종자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완전히 건조된 종자를 밀봉하여 저온창고에서 냉장보관해야 합니다

참취 종자는 휴면성이 있어 파종전 물에 충분히 적신 후 2°C정도의 저온에서 20일간 저온처리를 해 주어야 휴면타파가 이루어져 발아가 잘 됩니다.참취는 서늘한 기온에서 종자의 발아가 잘 되는 특성을 갖고 있어 참취 파종시기는 이른봄 또는 서늘한 가을이 적기입니다.기온이 상승하는 7월 이후에는 종자의 발아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급격히 때문에 늦어도 6월까지는 파종을 마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참취 종자를 파종하고 토양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적절한 수분관리가 되면 파종 후 15~20일 정도가 지나면 발아가 시작되어 싹이 올라옵니다

(2).참취(취나물) 작형별 재배시기(모종 심는시기와 수확시기)

참취는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재배가 가능한 산채류의 하나로 참취의 재배작형은 노지나 시설의 보온,가온 여부 등 재배환경에 따라  보통재배,조기재배,촉성재배,억제재배로 분류되며 우리나라의 참취재배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 조기재배 작형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a).노지의 보통재배

참취 모종 심는시기는 5월 상순이 적기이나 포기나누기(분주)로 육묘한 종묘는 해빙기의 이른봄에 정식하는 것이 생육에 좋습니다.참취 보통재배는 노지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재배하는 것으로 4월 하순경 참취 수확시기가 4월 도래되어 6월 하순까지 수확하는 작형입니다

참취 수확은 종자 파종의 경우 2년차부터,모종 정식의 경우 1년차부터 가능하지만 정식 2년차가 되어야 참취 수확량이 증가합니다.통상적으로 정식 2년차의 수확량은 정식 1년차에 비해 2배 가량 증가합니다

참고로 종자 파종시 참취 수확은 이듬해부터 가능하지만 2년 이상 생장한 참취의 묘두를 포기나누기로 분주해 정식하면 활착이 잘 되고 생육이 왕성해져 정식 당년에도 수확이 가능합니다.다만 참취 묘를 굴취작업과 포기나누기(분주) 작업 등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므로 참취를 대량으로 재배하는 경우에는 종자 파종이 유리합니다

(b).무가온 조기재배

참취 조기재배는 비가림하우스에서 보온덮개를 이용한 보온작업을 실시하여 수확시기를 3월 상순~5월 중순으로 앞당기는 작형입니다.이 작형은 1월 중순경 비가림하우스 내부에 비닐터널을 2중 또는 3중으로 설치하고 기온이 낮아지는 야간에 보온덮개를 덮어 가온을 하지 않고도 무가온으로 참취 수확시기를 보통재배 보다 앞당길 수가 있습니다

또한 노지의 보통재배시 참취 수확시기는 4월 하순~6월 하순이나 비가림하우스에 차광막(30%)을 설치해 주면 수확시기가 3월 상순~8월 하순까지로 수확기간이 연장됩니다.다만 참취는 7월이 지나면 꽃대가 올라와 개화가 진행되는 개체가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만약 종자 채종의 목적이 아니라면 꽃대를 조기에 제거해 주어야 양분 소모가 적어 이듬해 생육이 왕성해져 수확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c).가온 촉성재배

참취 촉성재배는 겨울철 가온시설을 이용하여 비가림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높여 참취 수확시기를 1월 하순~2월 하순으로 앞당기는 작형입니다.참취는 겨울철 생육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시설 내부의 온도를 높여 주어도 휴면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촉성재배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휴면 상태를 타파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취 촉성재배시 완전한 휴면타파를 위해서는 적어도 첫서리가 내린 후 60일 이상 지난 시점에 가온시설을 가동하는 것이 안전합니다.휴면타파가 이루어진 이후에는 가온시설을 이용하여 비가림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주간온도 24~26°C,야간온도 5°C 이상 유지되도록 관리해 주면 35~40일 정도 경과 후 첫 참취 수확시기가 도래합니다

(d).참취 억제재배

참취 억제재배는 11월 중순경 캐낸 종근을 지상부의 잎 등을 제거하고 상자에 뿌리가 안쪽으로 향하도록 가득 채운 후 뿌리 부분을 신문지로 덮고 밀봉하여 0°C의 저온창고에서 장기간 냉장보관한 후 7월 상순~9월 상순에 종근을 정식하고 8~9월에 참취를 수확하는 작형입니다

이 작형은 참취 종근을 심기전에 3시간 정도 물을  충분히 주어 뿌리의 세력을 회복시켜 정식해야 초기의 생육이 왕성하고 정식 후 30일 정도가 지나면 참취 수확시기가 도래하게 됩니다

 

참취-취나물-재배법-모종-심는방법-정식방법-재배관리-웃거름-물관리-차광관리
참취 재배법(모종 심는방법과 재배관리)

(3).참취(취나물) 모종 심는방법(정식방법)

참취는 비교적 내서성이 강한 편이나 배수가 잘 되고 수분의 보수력이 있는 반음지의 비옥한 토양에서 생육이 왕성하게 생육하므로 이러한 참취의 생육특성을 고려하여 참취 재배지를 선정하고 재배하여야 다량의 고품질 참쥐 수확이 가능합니다

⊙.참취 재배시 밑거름시비량(10a)은 완숙퇴비 3,000kg,요소 20kg,용성인비 60kg,염화가리 10kg으로 참취 모종심기 1개월 전에 정식할 재배밭 전면에 거름을 골고루 뿌리고 토양을 깊숙이 경운해 둡니다

⊙.재배밭 포장을 두둑너비 90~120cm,두둑높이 20~30cm정도로 이랑을 만듭니다.이랑의 두둑을 높여주면 장마기의 강우시 배수가 잘 되고 과습에 의한 습해가 방지되며 병충해 발생률도 감소하게 됩니다

⊙.참취 모종 재식거리는 줄간격 20~30cm,포기 사이간격 10cm정도로 정식합니다.모종 심는 간격은 모종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초기의 참취 수확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소 밀식으로 정식하고 재배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3.참취(취나물) 재배관리


(1).참취 재배밭 웃거름 방법

참취는 비료의 흡비력이 비교적 강한 다비성 작물로 토양에 양분이 결핍되지 않도록 충분히 거름을 주어야 합니다.참취는 연간 수차례에 걸쳐 수확하므로 수확 후 새로운 싹이 빠르게 돋아나게 하기 위해서는 연간 2~3회 웃거름을 주어야 합니다

 

참취 재배시 웃거름 시비량(10a)은 요소 8kg,염화가리 5kg으로 매회 동일한 양으로 시용하며 5월에 참취 모종을 정식한 경우에는 6월 하순에 1차 웃거름을 주고 장마가 끝나는 7월 하순에 2차 웃거름을 주면 됩니다

(2).참취 재배밭 물관리

참취는 배수가 잘 되고 비교적 수분이 많은 토양을 좋아하는 식물이므로 토양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주기적인 물관리로 토양의 수분을 관리해야 합니다

참취 재배밭 토양은 적정의 수분이 유지되어야 수확시기까지 토양속 양분을 충분하게 흡수할 수가 있어 참취의 품질이 높아지고 수확량이 증대됩니다.다만 강우시 배수가 불량하면 지하부의 생육이 부실해지고 심한 경우 뿌리가 썩기 때문에 장마기에는 철저한 배수관리가 필요합니다

(3).참취 재배밭 차광관리

참취는 반그늘진 곳에서 잘 지라는 작물로 무더운 여름철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줄기와 잎이 굳어지고 생육장해가 발생되므로 기온이 상승하는 5월 하순경 차광막(30%)을 설치해 주면 8월 하순까지 연한 참취 잎 수확이 가능합니다

다만 고온기인 7월 이후에도 과다하게 수확하는 경우 식물체가 약해져 다음해 생육이 부실해지고 수확량이 감소되므로 7월 하순 이후에는 가급적 수확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